건설산업 재해 사망자 : 499명 (2016년 4분기 기준)
전체 산업 재해 사망자 중 51.5% (안전보건공단, KOSHA)
OECD 산재사고 사망률 (2013년 기준)
설계안전성 검토(DFS)
‘설계안전성 검토’는 시공단계나, 완공 후 사용단계 또는 유지보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Risk)를 설계단계에서 파악 및 분석하여, 위험요소(Hazard)를 제거, 대체 또는 저감시키는 일련의 업무를 의미합니다.시간과 효율의 상관관계
설계안전성 검토 프로세스
01. 설계안전성 검토 프로세스
위험성(Risk)02. 위험성 평가
위험성 검토(Risk Assessment) 위험성 평가를 간단히 풀어 쓴다면Severity
피해의 심각성Probability
피해 발생 가능성 또는Assessment
평가 : 저감여부판단03. 저감대책 적용
저감대책 적용Hierarchy of Control | |
---|---|
가장 효과적 ![]() 효과 |
Eliminate (제거) |
Substitution (대체) | |
Engineering Controls (기술적 통제) | |
Administrative Controls (관리적 통제) |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개인보호장비) |
04. 잔여위험성 평가
잔여위험성(Residual Risk)MY DFS
무영건축은 2016년부터 ‘안전설계연구소’를 개설하였으며 미국 BGI와 협업하여 안전교육 및 안전업무 역량강화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BGI는 EHS(Environmental Health Safety)분야의 독보적인 안전컨설팅 회사로서 우주항공 안전설계, 원자력발전소 해체 기술, 반도체공장 안전시스템 구축, 화학물 처리 안전공정 컨설팅 등에서 세계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입니다.MY DFS 주요 활동
MY DFS 연구 성과물